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웹개발
- 자바
- vscode
- java
- JavaScript
- jQuery
- 코딩
- HTML
- Spring Security
- SQL
- 이클립스
- 깃허브
- 티스토리챌린지
- bootstrap
- Eclipse
- spring
- CSS
- 배포
- 기업설명회
- 오블완
- myBatis
- ChatGPT
- AJAX
- restapi
- 스파르타코딩클럽
- 김영한
- SQLD
- error
- Firebase
- github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125)
푸들푸들

프로그래머에게 프로그래밍의 관점을 갖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개발 방법론 선언형 프로그래밍 : "프로그래밍은 함수로 이루어진 것이다." 함수형 프로그래밍 : 선언형 패러다임의 일종, 순수 함수들을 블록처럼 쌓아 로직을 구현하고 고차함수를 통해 재사용성을 높인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순수 함수: 출력이 입력에만 의존 고차 함수: 함수가 함수를 값처럼 매개변수로 받아 로직을 생성할 수 있는 것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OOP, Object-Oriented Programming 객체들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의 상호 작용을 표현하며 데이터를 객체로취급하여 객체 내부에 선언된 매서드를 활용하는 방식 설계에 많은 시간이 소요, 처리 속도가 비교적 느림 특징추상화(abstraction): 복잡한 시스템으로부터 핵심적인 개념 또..
1. 싱글톤 패턴 1 class, 1 instance 하나의 인스턴스를 만들어 놓고 해당 인스턴스를 다른 모듈들이 공유하며 사용 인스턴스 생성 비용 ↓ but, 의존성 ↑ TDD(Test Driven Development) 어려움 - 독립적이지 X -> 의존성 주입(DI, Dependency Injection) ≒ 디커플링메인 모듈과 하위 모듈 중간에 의존성 주입자 삽입 - 메인 모듈이 간접적으로 의존성 주입 -> 의존성 ↓ 2. 팩토리 패턴 객체를 사용하는 코드에서 객체 생성 부분을 떼어내 추상화한 패턴 상속 관계에 있는 두 클래스에서 상위 클래스가 중요한 뼈대를 결정하고, 하위 클래스에서 객체 생성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결정하는 패턴 3. 전략 패턴 strategy ..

패키지 이름, 위치 = 폴더 위치패키지 이름 = 소문자 다른 패키지의 기능 사용 -> import 계층 구조-> 총 3개의 패키지: a, a.b, a.c - 이 3 패키지는 우리 눈에 보기에 계층 구조를 이룰 뿐, 서로 완전 다른 패키지 => 패키지가 계층 구조를 이루더라도 모든 패키지는 서로 다른 패키지

public class MemberInit { String name; int age; int grade; } public class MethodInitMain2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MemberInit member1 = new MemberInit(); initMember(member1, "user1", 15, 90); MemberInit member2 = new MemberInit(); initMember(member2, "user2", 16, 80); MemberInit[] members = {member1, member2..

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실행 순서를 중요시. "어떻게" 중심데이터와 해당 테이터에 대한 처리 방식 분리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객체들 간의 상호작용 중심. "무엇을" 중심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대한 행동(메서드)이 하나의 객체 안에 포- 대치되는 개념X 예제--> 절차 지향public class MusicPlayerMain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volume = 0; boolean isOn = false; // 음악 플레이어 켜기 isOn = true; System.out.println("음악 플레이어를 시작합니다"); // 볼륨 증가 volume++; ..